<명량해전의 양측
기록들>
명량해전은 1597년 9월 16일에
일본 해군과 조선 해군과의 사이에 일어난 전투이다.
한국에서는 명량 대첩으로
불리며 이순신이 이끄는 소수의 조선 해군이 다수의 일본 해군을 격파시킨 전투로 유명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순신의
해군이 일본 해군의 선봉 부대를 격파시켰으나 해상권을 포기하고 북쪽으로 멀리 후퇴했다.
명량해전 경과 :
이순신 해군이 열세였기
때문에 명량도로 물러났다.
이곳은 진도와 화원 반도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조류가 빠르고 큰 소용돌이 치고 있는 지역이다.
일본 해군 수십 척(조선 측 기록에서는 130여척~133척)이
명량도로 향했다.
다른 전함은 뒤로 빠지고
그(이순신의 함대)가 탄 배 한 척만 일본 해군과 싸웠다.
이 싸움에서 일본해군 제독인
구루시마 미치후사가 전사했다.
이순신이 의연히 싸우자
뒤로 빠졌던 조선의 전함들이 나서 참전했다.
치열한 전투 중 도도 다카토라가
부상하고 모리 다카마사는 바다에 떨어졌다.
도도 마고하치로와 도도
카게유가 조선 해군을 물리치고 모리 다카마사를 구조했다.
이 해전에서 조선
해군의 손해는 경미했으나 중과부적이라 퇴각했다.
일본 해군은 생소한 수로로
인해 조선 해군을 추격하지 않았다.
<-- 참고로 요즘 일본에서는 작은 세키부네들로 조선 해군을 추격했다라고 주장을 하고 있음
다음날에 도도 다카토라, 와키자카 야스하루 등이 전날의 전장을 둘러보았다
<-- 참고로 일본 후속 일본 해군들은 명량해전 후에 바로 전라도에 입성을 했음
이때 이순신 해군은
그곳에서 머나먼 외도(신안군 지도읍)에 있었다.
명량해전 이전에 충청도까지
진출했던 일본육군이 그 해전 후에 남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들이 전라도 서해안을
제압시키자 이순신 해군이 북쪽으로 후퇴했다.
이들은 제대로 된
반격을 한 번도 해보지 못하고 9월 19일에는 영광군 앞바다로, 9월 21일에는 군산
앞바다로 후퇴했다.
일본 해군은 명량
해전 다음 날에 조선 해군의 근거지인 진도를 점령했다.
그 다음 날에 전라남도
서해안 지역에 진출했다.
이곳에서 육군과 만났다.
일본 육군과 해군이
전라도 전역의 소탕이라는 목표를 달성한 것이다.
일본 해군이 명량을 떠난
후인 10월 8일에야 이순신 해군이 그곳으로 귀환했다.
본래 근거지는 파괴된 관계로
고금 섬(완도군 고금면)을 새로운 근거지로 삼았다.
이순신 해군이 재건하는
데에는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명량해전 평가 :
일본 해군의 선봉대를
격파시킨 이순신 해군이 전라도 북단으로 철수하고 일본 해군은 그의 근거지를 점령하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전략적으로 볼 때
명량해전은 일본 해군이 승리한 전투였다.
현대 한국에서는 명량해전을 "일본에 대승한 해전"으로 선전하고 있다.
일본 해군의 참가 병력이
군선 133척, 운송선
200척이고 손실이 침몰 31척, 대파 92척, 전사 8000~9000명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말은 일본, 조선 양편의 사료를 하나도 보지 않고 하는 소리이다.
그때 일본 해군의 전체
수효는 도도 다카토라(2,800), 가토 요시아키(2,400), 와키자카
야스하루(1,200), 구루시마 미치후사(600), 간 미치나가(200) 모두를 합해도 8,000 명이 못 되었다.
명량해전에서는 대형 선박인
아타케부네(安宅船)를 쓰지 않고 30명~40명 정도 탈수 있는 작은 중형 선박인 세키부네(関船)만 썼다.
이순신 자신이 저술한 "난중일기"에만 의거해도, ‘당파’라고 했지 ‘격침시켰다’고는 하지 않았다.
일본 측의 전사자
수효는 아예 기록하지 않고 있다.
일본 측의 기록은
차치하고 조선 측 기록(이순신 자신의 기술과 다른 사료)에만
의거해도 명량전투는 조선 해군 12~14척이 일본 전함 30척을
공격한 후 후퇴한 전투였다.
<-- 참고로 일본측에서는 작은 세키부네 수십척이라고 주장을 하고 있음
한국에서 명량해전 전말은
역사 교과서에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이 내용은 ‘일본해군을 궤멸시켜, 그들의 침공을 막았다’는 것이다.
이순신이 명량해전 후에
북쪽으로 퇴각했고 이에 일본 해군이 제해권을 장악했다는 사실은 기술하지 않고 있다.
당시 이순신이 전장으로부터
이탈, 도주하여 일본해군이 무혈로 서해안에 진출했다.
따라서 그가 문책당해야만 했다.
이것에 대해서는 조선
정부도 느끼고 있었음은 조선 측 기록을 살펴보아도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정부가 명량에서 작은 승리?? 를 거둔 이순신에게 아무런 포상도 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이순신의
조선수군이 승리한 해전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볼때 일본해군의 승리였음
위에 내용들은 조선측 기록과 이순신 난중일기에 다 나오는 기록들임
자 위에 내용 하나를 보더라도
우리나라가 얼마나 역사 왜곡을 심하게 하고 있는지 알 것임
왜?? 우리나라 역사학자들은 확인도 안해보고 지들 멋대로 역사책에 명량 해전을 명량 대첩?? 이라고 기입했을까나??
그리고 전략적으로 명량
해전은 패한 전투였는데 이걸 큰 승리 그것도 대첩?? 이라고 했을까??
개인도 서로서로 싸움을
하면 양쪽측 말을 다 들어봐야 하는데 말이지
일본측 기록은 아에 생략을 하고 우리나라 기록들로만 역사를 쓰는 한심한 우리나라 역사 학자들
그리고 윤지강이라는 작가도 한산도
해전이 세계 4대 해전?? 에 든다고 지 멋대로 썼었지
근데 이걸 좋다고 확인도 안해보고 퍼나른 우리나라
역사 학자들
그리고 명량 해전 직전에
이순신이 말했다던 "필사즉생 필생즉사 (必死則生
必生則死)" 이순신이 남겼다는 말로 홍보를 했었지
당연히 여러 시중 역사책들에서도
홍보를 했었음
근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하여튼 이 말은 중국 춘추 전국 시대때 오기(吳起)가 지은 오자병법(吳子兵法)에
나오는 말임
또 일본 해군 제독 도고 헤이하치로(東郷平八郎)가 이순신을 존경한다는 기록들이 전혀없는데도 친일파 기업인 이영개가
말한 걸 확인도 안해보고 퍼드리고 보도하고 여러 시중 역사책들에 실은 우리나라 역사 학자들 참 한심하다고 할수 밖에는...
다른 것들도 많지만 이정도로만해도
다른 것들은 어떤지 알 것임